The Citing Articles

“지역의료 살린다던 민주당 정책과 딴판”… 의료계, 野 비판 고조

류지미 2024. 1. 5. 06:57

 

 

“지역의료 살린다던 민주당 정책과 딴판”… 의료계, 野 비판 고조

조백건 기자입력 2024. 1. 5. 03:53수정 2024. 1. 5. 06:08
 
“지역 의사제·공공의대 설립 등
野가 앞장서 입법 추진하더니
정작 李대표가 다치자 서울행”
사진=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왼), 서울대병원 중증외상 최종치료센터(오)

 

 

4일 부산시 의사회가 부산에서 피습당한 이재명 민주당 대표의 서울대병원 헬기 이송에 대해 “민주당의 위선적 태도” “특권 의식” “안하무인”이라고 비판한 것은 ‘지역 의료 불신과 붕괴’에 대한 위기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산대병원은 이 대표 수술을 준비했지만, 이 대표 가족과 민주당 측 요청으로 서울대병원 전원이 결정됐다.

 

부산시 의사회는 이날 “전국 최고 수준의 응급외상센터(부산대병원)에서 모든 수술 준비가 다 되었음에도 병간호를 핑계로 몇 시간을 허비해 가며 수도권 상급 종합병원(서울대병원)으로 이송했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는 심각한 응급 상황이 아니었음에도 119 헬기를 전용했다”며 “대한민국에서 그 누가 자신이 원한다고 지역 119 헬기를 타고 자신들이 원하는 상급 종합병원으로 갈 수 있다는 말인가”라고 했다. 의사회는 “숨겨둔 선민의식이 배어져 나온 국민 기만 행위이며, 내로남불의 전형”이라고도 했다.

 

 

특히 부산시 의사회는 민주당과 이 대표가 지방 의료 붕괴 해결책으로 일정 기간 지방 근무를 강제하는 ‘지역 의사제’와 지역 의사 양성을 위한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한 것을 “위선적 태도”라고 했다. 실제 민주당은 작년 10월 ‘공공·지역 의료 TF(태스크포스)’를 만들었으며 국회 보건복지위에서 여당 반대에도 관련 법안 2개를 단독으로 처리했다.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해 부산대병원 같은 지역 거점 병원을 지원한다는 취지의 법안을 밀어붙인 것이다. 의사회는 정청래 민주당 최고위원의 ‘잘하는 곳(서울대병원)’ 발언을 거론하며 “의료기관을 서열화하고 지방과 수도권을 갈라치기 했다”며 “이러고도 민주당이 지방 의료 붕괴와 필수 의료 부족을 논할 자격이 있는가”라고 했다. ‘의료 내로남불’이라는 것이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 비상대책위원장도 3일 서울 용산구 집회에서 “국민들에겐 지역 의사제 하자며 지역 병원에서 치료받으라고 하더니 자기는 굳이 헬기를 타고 서울대학병원에 갔다”고 했다.

 

그래픽=정인성

 

 

부산대병원은 이 대표 수술을 충분히 할 역량을 갖춘 곳으로 평가된다.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시설이다. 중증 환자를 상대로 365일 24시간 신속한 수술까지 할 수 있다. 복지부 평가에서 3년 연속 최고 등급(A)을 받았다. 정부가 시설비와 운영비로 매년 50억원 안팎을 지원한다. 복지부는 2012년 이후 전국에 17개의 권역외상센터를 선정했다. 반면 서울대병원 중증외상센터는 복지부가 아닌 서울시가 2020년 자체적으로 지정한 시설이다. 한 해 지원액도 6억원 정도다.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근무하는 전담 전문의는 17명이지만, 서울대병원 중증외상센터의 전담 전문의는 6명 정도다.

 

피습 직후 이 대표 수술을 준비한 김재훈 부산대병원 외상외과 교수는 이날 본지에 “당시 이 대표의 서울 전원(轉院)을 반대했다”며 “부산대에서 충분히 할 수 있는 수술이었다. 부산대병원이 전국에서 이런 수술을 한 경험이 가장 많다”고 했다. 그는 “서울로 가는 중 대량 출혈이 일어나 응급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며 “저희들은 평소에도 워낙 그런 환자들을 많이 보기 때문에 수술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다”고 했다. 부산대병원 내에선 “헬기를 타고 다른 병원으로 옮겨간 것은 이 대표가 유일했다”는 얘기도 나온다. 충청도의 한 대형병원 교수는 이날 “유력 정치인부터 ‘아프면 묻지 마 서울’이니 지방 환자들이 서울의 ‘빅5′(서울대·서울아산·세브란스·삼성서울·서울성모)에만 몰리고 지방 의료는 거점 병원부터 무너지는 것”이라고 했다. 부산의 한 의대 교수는 “지금까지 지방 의료의 신뢰도를 쌓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 대표의 서울행으로 위기를 맞았다”고 했다. 지난해 서울의 ‘빅5′를 찾은 비수도권 환자는 71만3284명으로, 2013년보다 42.5% 늘었다. 쓴 치료비만 2조1800억원에 달한다.

 

 

이날 민주당은 의료계의 비판에 대해 “가짜 뉴스”라고 했다. 홍익표 원내대표는 “이 대표 이송은 응급 의료 체계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부산시 의사회는 “부산대병원에서 수술받는 것이 국가 외상응급의료 체계”라고 했다.

 조선일보

 

많이 본 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흉기 피습 사건이 일어난 지난 2일. 이 대표 이송이 예정된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앞에는 오후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흉기로 찌른 김모(67)씨가 4일 구속됐다. 부산지법 성기준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살인미수 혐의로 검찰이...
 
이달 말 전국 법원장 인사를 앞두고 고등법원 부장판사들이 사표를 내고 있는 것으로 4일 전해졌다. 서울고등법원에서 홍승면(사법연수원 1...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2024.01.05 05:36:13
누구는 응급실 뺑뺑이 돌다 죽어나가는데, 찢은 헬기 불러 다른 응급수술 뒤로 밀리게 해놓고 새치기 수술받으며 의료전달체계와 지역의료를 무시하니 이런 내로남불이 어디 있음? 만약 국힘 대표나 한동훈이 찢과같은 상황을 맞아 똑같이 처신했다면 벌써 광화문에 민노총, 전교조들 기어나와 진상규명과 특검 외쳤을 것이며, 김어준은 응급수술이 뒤로 밀려 환자가 죽었다고 주장하는 가짜유족 한명 구해와 질질짜는 유튜브 방송 해댔을게 안봐도 비디오임. 이번에 더듬당 놈들이나 찢과 그 가족들 모두 특권의식에 사로잡혀 국민의 혈세를 낭비하고 직권을 남용한 것으로, 반드시 헬기특검을 해야 함
답글1
66
0

2024.01.05 06:14:39
이재명이 이맛에 정치하려는 것이지...
답글작성
41
0

2024.01.05 06:16:35
이재명이 무슨 탐크루즈나 이건희냐? 헬기타고 병원다니고?
답글작성
31
0
더보기

 

이재명 첫 진료 김재훈 교수 방금 충격 폭로! 서울대병원 난리났다! (진성호의 융단폭격)

https://www.youtube.com/watch?v=wYTin9N-ZoE

 

Jan 5,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