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주(徐廷柱, 1915년 ~ 2000년)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면서 등단,
1941년에는 <자화상>, <화사>, 등의 시가 수록된 첫 시집 <화사집>을 출간,
1948년 <견우의 노래>, <귀촉도>, <푸르른 날> 등이 수록된 두 번째 시집 <귀촉도>를 출간,
1956년 <무등을 보며>, <국화 옆에서> 등이 수록된 세 번째 시집 <서정주시선>,
1961년에는 <꽃밭의 독백>, <고조> 등이 수록된 네 번째 시집 <신라초>를,
1968년에는 <동천>, <선운사 동구> ,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등이 수록된 다섯 번째 시집 <동천>을 출간,
말년에 ‘내 늙은 아내’라는
시를 지었다.
시인은 치매에 걸린 아내의 손톱, 발톱을 10년 넘게 깎아주며 수발했고
어디를 가든 항상 손을 잡고 다녔다고 한다.
치매에 걸린 이유도 있었겠지만...
밥을 하면 먼저 퍼서 아내 앞에 놓고 직접 다 먹인 다음에 남는 밥을 먹었다고 하며
그녀와 ‘함께’ 가보겠다라는 ‘사랑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아내 별세 이후 79일간 곡기를 끊고 맥주로 연명하다가
부인을 따라서 귀천하였다.
서정주, 귀촉도 (歸蜀途)
서정주(徐廷柱, 1915년 ~ 2000년)는 1933년부터 시를 발표하였고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벽’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벌였다.
‘시인부락’ 동인지에서 여러 작품의 시를 발표하면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고
그의 두 번째 시집 ‘귀촉도’는 초기의 관능적인 세계를 벗어나 동양적 내면과 감성의 세계에 대한 탐구를 보여주고 있다.
‘귀촉도'는 촉나라 망제가 죽어서 되었다는 귀촉도의 전설을 모티브로 하여 이별의 정한을 노래하였다. 다하지 못한 사랑에 대한 아쉬움과 사무치는 그리움, 생명을 초월한 영원한 사랑 등이 비극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제 피에 취한 새’인 ‘귀촉도’는 님의 표상이자 님과 나를 연결 시켜주는 사랑의 매체로 볼 수 있고 애절한 한의 객관적 상관물로 해석할 수 있다.
<귀촉도>
눈물 아롱아롱
피리 불고 가신 임의 밟으신 길은
진달래 꽃비 오는 서역(西域) 삼만리.
흰 옷깃 여며 여며 가옵신 임의
다시 오진 못하는 파촉(巴蜀) 삼만리.
신이나 삼아 줄 걸, 슬픈 사연의
올올이 아로새긴 육날 메투리.
은장도 푸른 날로 이냥 베어서
부질 없는 이 머리털 엮어 드릴 걸.
초롱에 불빛 지친 밤하늘
구비구비 은핫물 목이 젖은 새.
차마 아니 솟은 가락 눈이 감겨서
제 피에 취한 새가 귀촉도 운다.
그대 하늘 끝 호올로 가신 임아.
구슬공주. 문주란
1968
文珠蘭'문주란_[구슬公主]
김영곤 작사/ 박춘석 작곡/ 1968년 영화주제곡
'Luv and Ar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고파 / 이은상 (0) | 2022.08.13 |
---|---|
사랑 / 이은상 (0) | 2022.08.13 |
정운(丁芸) 이영도(李永道)와 청마(靑馬) 유치환(柳致環)의 사랑과 시 (0) | 2022.08.13 |
이현 . 그리운 어머니 (0) | 2022.08.13 |
엄마는 성매매 요구, 연인은 강제 성관계…'세기의 디바' 기구한 삶 (0) | 2022.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