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본처, 6·25전쟁 중 한강다리 못건너고 인민군에 사살돼
전정희 입력 2022. 08. 21. 06:02 수정 2022. 08. 21. 06:36
[전정희 편집위원의 러브& 히스토리칼 사이트](7) 이승만 망명 전까지 서로 사랑했던 부부(下)
독립운동가 아내 감시와 협박 속 일경으로부터 수치..부정설, 개가설 돌아
이승만(1875~1965) 전 대통령의 본처 박승선(1875~1950 추정)의 사진을 마주보면 왼쪽 눈이 어딘가 자연스럽지 못하다. 장애가 있는 것 아닌 게 싶게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
노년의 박승선. 1965년 8월 조선일보가 보도한 사진이다.“그렇다고 ‘봉사’(시각장애인을 칭하는 옛 말)와 혼인시킬 수도 없고….” 그렇게 고민하던 이경선은 맞춤한 며느리감을 찾아냈다. 같은 동네(지금의 서울역 건너편)에 사는 가난한 집 규수 박 소저였다.
1899년 이전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이승만 전 대통령 가족 사진 중 부분. 이승만 박승선 부부이다.박 소저는 지금의 경기도 의왕시 출신이나 주로 황해도 연백군 관천리에서 살다 도성 밖 외가가 있는 우수재 근처로 이사했다. 그녀가 ‘독립운동가의 아내’로 일경에 감시를 받을 때 황해도 연백과 시가붙이들이 사는 황해도 평산 등으로 옮겨 다니며 살았던 것도 이와 같은 배경 때문이다.
박승선이 입양한 양아들 철호(가명) 씨가 6·25전쟁 당시 강화 교동도가 지척인 연백군 연안읍에 살다가 1·4후퇴 때 서해 장봉도를 거쳐 인천 시내서 정착한 것도 이승만 박승선 부부의 ‘공간’과 일치한다.
물론 이같은 이승만 본처 얘기는 지금도 봉인되어야할 금기다. 서울 ‘이화장’에 적을 둔 사단법인 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사업회(회장 황교안) 홈페이지 ‘이승만 연보’ 등에도 박승선이 거론되지 않았다. ‘이승판 평전’의 저자 이주영 등 ‘이승만 연구가’ 등도 박승선에 대한 언급을 않는다.
본처 박승선을 둘러싸고 많은 연구자나 지지자들이 결혼 자체를 전면 부인하다 두 부부 사이의 아들 봉수(이명 태산·1899생) 문제, 혼인을 증명하는 가족사진 증거, 부부 관계임을 입증하는 호적 등 관련 문헌 등을 내밀면 한 발 물러서 박승선의 부정설, 합의 이혼설 등으로 대응한다.
그렇게 이승만이 프란체스카와 이중 결혼한 사실을 숨기려다 보니 ‘일그러진 신화’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울고넘는 박달재’의 작곡자 반야월의 노래비가 있는 박달재에 가보면 ‘반야월 기념비’가 있고 그 옆에 친일한 사실도 있음을 ‘그대로’ 적시한 안내문 사례에서 보듯 공과를 드러내 역사의 판단에 맡기면 된다. 한국 사회에 기여는 했으나 친일 등의 문제가 있는 이들의 기념비나 동상 옆에 친일 사실을 적시한 ‘단죄문’을 세우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어쨌든 그렇게 혼인한 부부는 조선말 부부가 그렇듯 아내는 현숙했고 남편은 양녕대군 후손이란 자부심을 가진 사람답게 반듯했다. 그러나 조선말 부패할 대로 부패한 과거제도를 통한 입신양명에 실패한 이승만은 결국 과거제도 폐지와 함께 출세에 대한 희망을 잃어버렸다.
그렇게 살아가던 부부 사이에 첫 아이가 생겼으나 사산했다. 그리고 결혼 8년 만에 아들 봉수를 갖게 된다. 양아들 철호 씨는 이승만 실각 후 언론과 가진 인터뷰에서 “어머니는 내가 셋째 아들이라고 하셨다”며 “나는 태어나 줄곧 (대통령 이승만을) ‘정신적 아버지’로 생각하며 살았다”고 말했다. 철호 씨는 “아버지 유해가 (하와이에서) 서울로 운구 되어 오기 전 날도 이화장으로 가서 부친 상의 예를 다했다”고 회고한 바 있다.
서울 종로구 이화동 '이화장'과 이승만 동상. 이승만은 귀국 후 돈암장, 마포장 등을 거쳐 이곳에서 프란체스카와 신혼 살림을 꾸린다. 하야 후에도 이곳으로 돌아왔다. 사진=전정희
이승만은 당시 조선에 개신교 문명을 처음 전해준 아펜젤로가 세운 배재학당과 그들의 모임 공동체 상동교회(현 한국은행 건너편)를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자유와 평등 사상을 익혔다. 그리고 그 사상은 자연스럽게 아내 박승선에게 까지 미쳤다.
이름도 없던 필부(匹婦)가 남편의 가운데 자를 따 ‘승선’이란 이름을 호적에 올릴(1916년) 수 있었던 것이다. 박승선은 상동교회에 다니며 한글도 배우고 서양 여선교사들로부터 영어도 배웠다. 이화학당 설립자 메리 스크랜턴과 그의 아들 윌리엄 스크랜턴이 1885년 이래로 시병원, 동대문부인병원(보구여관 전신), 상동교회와 공옥학교 등을 세우고 활동하던 때였다.
당시 아펜젤러, 스크랜턴 모자 그리고 그들이 속한 조선감리회는 단순한 종교의 일파가 아니었다. 사회적 영향력이 막강했다. 그 교파 산하 상동교회 및 정동교회는 ‘민족교회’의 산실이었다. 그 교회 우산 아래서 독립운동가 전덕기 목사(상동교회)와 김구 이준 이상재 이회영 등 숱한 인물들이 뭉쳐 ‘105인 사건’과 ‘신민회 사건’의 주역이 됐다. 이 과정에서 이승만은 조선감리회의 영향력을 배경으로 전기적 인물이 되어 갔다.
또 이승만이 한 평생 ‘기독교 우파’가 된 근저에는 체험적 신앙이 절대적으로 작용했다. 군주제 폐지를 주장한 역모 혐의로 종신형이나 다름없는 형을 받아 한성감옥에 수감(1899년) 됐을 때 감옥 안에서 신비체험을 했던 것이다. 정치인 이승만은 비록 권모술수에 능한 정치가이며 끝내 독재자로 끝났으나 생활인 이승만은 근검과 절약이 몸에 밴 청교도였다.
이승만의 ‘절대반지’는 영어를 잘하고, 기록에 능한데 있다. 이를테면 출옥 후 상동교회 상동청년학원 교장으로 취임했다는 기록을 남겼으나 상동교회 역사연구자는 “개교 연설만 했을 뿐인데 교장이라는 타이틀은 무의미하다”라고 했다. 이승만은 기록의 중요성을 누구보다 중시한 까닭에 프로필 관리에 남다른 재능이 있었다.
어찌됐든 이승만은 적어도 1904년 말 1차 망명 후 귀국(1910년 10월) 무렵까지 본처와의 사이가 좋았던 것으로 보인다. 1899년 이승만이 체포되어 한성감옥에 수감되자 박승선은 대한문 앞에서 금식 시위를 벌였고 남편의 긴 수형 생활이 이어지자 조선에 온 선교사들에게 바느질한 엽랑주머니를 팔아 영치금을 댔던 아내였다. 더구나 1차 망명 기간 중인 1906년 미국을 불러들인 아들 봉수가 10개월 만에 그곳에서 디프테리아로 사망했는데도 그렇게 사이가 나쁘지 않았다.
서울 종로구 이화동 '이화장' 내 '조각당' 건물. 두 칸 짜리 작은 이 건물에서 초대 정부의 장관 후보들을 단독 면담 후 임명했다. 사진=전정희
이승만은 귀국 1차 때 항일 강연과 미국 북감리회 조선선교부와의 유대를 면밀히 했다. 일제가 더는 놔둘 수 없어 손을 쓰려 하자 선교사 등을 통해 정보를 입수한 이승만은 1912년 3월 2차 망명을 떠난다.
남편이 2차 망명을 떠난 후 박승선은 시아버지를 극진히 모셨다. 황해도 평산의 시댁 재산을 지키기도 했다. 온전한 크리스천이 된 그녀는 오직 성경에 의지해 삯바느질과 삯빨래를 하며 견뎠다. 법사에게 사기를 당한 후 감리회 계통이던 창신동 옆 동대문부인병원에서 허드렛일을 하기도 했다.
이승만은 이런 본처를 위해 자신의 할아버지 이규창 명의로 내려오던 창신동 땅과 집에 자신의 호적을 옮겨 박승선이 살도록 했다. 앞서 애기했듯 불세례를 받아 ‘오직 성경’만 믿는 독립운동가의 아내였으므로 성서에 어긋나는 일이라면 타협 없는 ‘진보적 여인’임에 분명했다.
이 창신동에서 입양한 양자가 철호 씨다. 1960년대 초 철호 씨(당시 인천의 큰 교회 장로였다)는 언론 인터뷰에서 “어머니가 너의 아버지는 망명가 이승만이라고 입버릇처럼 말씀하셨기 때문에 자랑스럽게 여기고 살았다”며 “철들고 난 후부터 소문을 종합해 볼 때 이 박사의 친 자식이 아니라는 확신이 들었으며 지금도 그런 심경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박승선이 1916년 창신동 집 개구멍받이로 얻은 아들이었다고 밝힌 인물이 철호 씨였다.
이때 부정설과 개가설이 떠돌았다. 즉 창신동 ‘포도나무집 이박사 댁’이 부정을 해 자식을 얻었다는 것이다. 앞서 게재 했던 신흥우 주장(1949년 ‘이승만’ 저자이자 고문인 올리버 박사와 신흥우의 면담 기록)과 유사하다.
이 부분에 대해 1965년 8월 11일자 조선일보에 이승만의 생질 심종철(당시 70세·서울 북아현동 거주)은 “철호는 내가 확인한 양자임에 틀림없으며 박 여사가 창신동에서 외로움에 지쳐있 때 개구멍받이 핏덩이로 받아 기른 아이였다”며 “항간에 떠도는 부정설, 개가설 등은 낭설”이라고 말했었다. 이어 “박 여사의 성격이 이를 데 없이 강직했었고 마음 또한 비길 데 없이 착하셨다”고 덧붙였다.
조선말 서울 상동교회. 현재 서울 한국은행 맞은 편 교회이다. '105인 사건' '신민회 사건' 등 기독교 민족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하다. 이승만 박승선 부부는 이곳에서 신앙생활을 했다.
그런데 그렇게 수절하던 박승선이 창신동 지장암 법사에 땅을 빌려준 뒤 사기 및 폭력 사건('이승만 대통령 본처, 버림 받고 법사에 사기·폭력 당한 기구한 삶' 편 참조)에 연루되고 부정설 및 개가설이 돌면서 이승만과의 사이가 완전히 틀어져 버린 것이다.
이와 관련 이승만과 박승선이 섬겼던 상동교회에선 황해도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 박사 댁의 기구한 삶’이 회자되곤 했다.
이 교회 산하 민족교회연구소 황해도 출신 연구원은 “당시 박승선은 남편이 1, 2차 망명을 하며 독립운동을 한 독립운동가의 아내였으므로 상상하기 어려운 감시와 협박을 받고 있었다”며 “일제 경찰로부터 수치스런 일을 당한 박승선이 모성의 본능으로 모든 것을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아이를 키우게 됐다고 이승만과 친구였던 나의 집안 어른, 당시 고향 어른들이 말하곤 했다”고 밝혔다. 상동교회는 황해도 엘리트들이 주축을 이룬 교회이기도 했다.
구식 여인 박승선은 결국 이승만으로부터 버림 받았다. 중혼한 남편이 본부인에게 훼절을 이유로 들었다. 시대가 낳은 영웅이 이승만이었다. 시대가 낳은 비극의 여주인공은 박승선이었다.
대한제국 및 일제강점기로 추정되는 서울 동대문부인병원의 일부. 이승만 본처 박승선이 이승만 망명 후 삯빨래를 하던 곳이다.
문제는 ‘국부 신화’를 창조코자 하는 사람들이 결국 자기 신념으로 객관적 연구와 소통을 막는데 있다. 이승만에 대해 있는 그대로 드러내면 된다. 지나간 역사다. 우리는 그 역사를 통해 앞으로의 교훈을 얻으면 된다.
그 이름도 없던 ‘봉사’ 박 소저의 끝은 어떻게 됐을까.
박승선은 1949년 5월 이승만이 내세운 이기붕에 의해 ‘친족관계 부존재 확인소송’에서 호적 말소 당한다. 그렇게 창신동 호적 말소에 성공한 대통령 이승만은 1949년 7월 28일 ‘서울 종로구 이화동 1번지’에 전적을 하고 1950년 4월 ‘호주댁’으로 불렸던 대한민국 첫 영부인 프란체스카와 결혼신고를 한다.
그리고 6·25전쟁이 발발했다. 이승만은 한강다리를 끊고 ‘몽진’했다. 박승선은 결국 다리를 건너지 못해 피난을 가지 못했다. 그해 9월 서울수복이 되면서 국군이 들어왔다. 박승선은 신당동 사돈집에 거하면서 북한군이 다 물러 간 줄 알고 대문에 붙은 삐라를 떼다 인민군 총격에 사망했다고 한다. 또 납북됐다는 설도 있다.<끝>
lakajae@kukinews.com
쿠키뉴스(www.kukinews.com)
'History & Human Ge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uerdos De La Alhambra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0) | 2022.08.28 |
---|---|
'Ukraine was reborn when Russia invaded us!' Putin's obliterated tanks line streets of Kyiv as Zelensky rallies the country on Independence Day (0) | 2022.08.24 |
Tower of Babel (Hebrew: מִגְדַּל בָּבֶל, Migdal Bavel) (0) | 2022.08.12 |
"홍동백서 근거없어…차례 간소화 추진하겠다" (0) | 2022.08.12 |
청와대와 경희궁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