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면담 요청조차 몰랐다…朴도 궁금한 '옥새 파동' 진실 [박근혜 회고록]
![](https://blog.kakaocdn.net/dn/bIYl9y/btsAmHxQIFh/3XajUukHThus89yD8Cc5Xk/img.jpg)
“과반 의석은 장담하지 못해도 최소한 1당을 차지할 거라 믿었다.”
2016년 4월 치러진 20대 총선을 앞두고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이렇게 생각했다고 한다. 2016년 초만 해도 여당인 새누리당은 호남 기반의 국민의당 창당 등 야권 분열에 힘입어 총선 승리가 유력시됐다. 그러나 막상 투표함을 열자 새누리당은 1석 차로 더불어민주당에 1당을 내주는 충격적 패배를 당했다. 1석 차이지만 여파는 컸다. 20대 국회의 국회의장이 민주당 몫으로 넘어갔고, 이는 8개월 뒤 국회의 대통령 탄핵안 추진에도 중요 변수가 됐다.
![](https://blog.kakaocdn.net/dn/bev0Ft/btsAklvaNbt/Vb0yHJDe1ByRLOdR5BVwL0/img.jpg)
20대 국회의원 총선거 개표가 종료된 2016년 4월 14일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합해 새누리당 122석, 더불어민주당 123석, 국민의당 38석, 정의당 6석, 무소속11석이 당선 확정됐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인 새누리당 보다 1석을 더 얻어 제1당으로, 국민의당은 호남지역에서 23개의 의석과 비례대표 13석을 확보해 20대 국회는 3당체제와 16년 만에 여소야대(與小野大)의 형국이 이뤄졌다. 사진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왼쪽부터) 중앙포토
박 전 대통령은 20대 총선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15일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서비스 ‘더중앙플러스’(The JoongAng Plus)의 ‘박근혜 회고록’에서 박 전 대통령은 당시 여권의 ‘진박 감별사’ 논란과 김무성 대표의 ‘옥새 파동’ 등에 대해 소회를 피력했다.
.
![](https://blog.kakaocdn.net/dn/bXVrYx/btsAp1vqgZf/i7xVynvks4H3nHDvyPnH31/img.jpg)
새누리당 이한구 공직후보자추천관리위원장(왼쪽)이 2016년 2월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4ㆍ13총선 최대 관심지로 떠오른 대구ㆍ경북지역의 공천신청자 면접을 실시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굉장히 소신이 강한 분이라 나로서도 의외의 공천 결과가 꽤 있었다”며 주호영 의원의 공천 탈락을 예로 들기도 했다. 중앙포토
박 전 대통령은 “정무라인을 통해 ‘진박 감별론’을 퍼트리는 인사들에게 ‘당내 위화감을 조성하는 것은 자제해 달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무엇보다 유승민 의원 공천 논란을 그렇게 크게 만들 일이 아니었다. 그 문제가 다른 총선 이슈를 다 덮어버렸다. 20대 총선을 생각하면 뼈아픈 후회가 남는다”고 말했다.
![](https://blog.kakaocdn.net/dn/uA8u5/btsAm3m9t25/6cBrS0LZRJ9pdaBfZPCA20/img.jpg)
또 ‘옥새 파동’을 앞두고 김무성 대표가 면담이나 통화를 요청했다는 것에 대해 “그 얘기는 수감된 이후 전해 들었다. 도대체 어떤 영문으로 김 대표와 연결이 안 됐는지 몰라 화가 났지만, 이미 때는 늦은 뒤였다”고 아쉬워했다.
박 전 대통령은 일부 친박계 의원들이 당시 공천 과정에서 세 과시나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에 대해 “내 이름을 빌려 호가호위하는 일도 꽤 있었던 것 같다”면서도 “내가 몰랐다는 게 변명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박 전 대통령은 김 대표와의 ‘오픈 프라이머리’ 충돌, 검찰의 총선개입 혐의 기소 등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https://blog.kakaocdn.net/dn/PLmHX/btsAjs89Wa7/KE6zsJi83l1O6yFa1Ar4RK/img.jpg)
앞서 박 전 대통령은 14일자 회고록을 통해 2015년 6월 국무회의에서 “배신의 정치를 심판해달라”고 말한 이유와 한때 친박 핵심이던 김무성·유승민 두 의원과 소원해진 배경 등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술회했다.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박근혜 회고록의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회고록 주소는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07097 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eUqhK/btsAmZ6dblQ/KG3Y2JFez6aDkMd119a0R0/img.jpg)
대구 달성군 유가읍 자택의 박근혜 전 대통령.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History & Human Ge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five ancient cities that once ruled North America (0) | 2023.11.17 |
---|---|
“내가 알던 진영 아니었다” 朴 놀라게한 측근의 돌변 (0) | 2023.11.16 |
그날 밤, 연락 끊은 유승민…그와의 관계 그때 파탄 났다 (0) | 2023.11.15 |
백제 성왕 사절지(百濟聖王 死節地 ); 성왕의 원혼 서린 구진벼루 (0) | 2023.11.14 |
성왕 聖王과 관산성전투 管山城戰鬪 (0) | 202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