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무임승차 비율, 경마장역 가장 높아”...진중권 “딱 괴벨스 화법”
광운대 진중권 교수는 26일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가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 문제를 지적하며 “무임승차 최다역은 경마장역”이라고 말한 것을 두고 “정말 안 좋은 버릇이다. 이게 딱 괴벨스 화법”이라고 비판했다.
진 교수는 이날 CBS 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나와 이 대표의 화법을 두고 아돌프 히틀러를 위해 독일 나치 정권의 선전·선동을 담당했던 파울 요제프 괴벨스에 빗대며 이렇게 말했다.
이 대표는 같은날 오전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지하철 노인 무임승차를 주제로 김호일 대한노인회장과 토론했다. 이 대표는 토론 말미에 “4호선 51개 지하철역 중에서 가장 무임승차 비율이 높은 역이 어딘지 아는가”라며 “경마장이다. 그러니까 이게 어떻게 젊은 세대에 받아들여질지 한번 살펴봐야 된다”고 말했다.
이 대표가 말한 ‘경마장역’은 현재 수도권 전철 4호선에는 없는 역명이다. 1994년 4월 1일 역이 만들어졌을 때는 경마장역이었지만, 2000년 1월 1일부로 ‘경마공원역’으로 역명을 개칭했다. 경마·도박과 관련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목적이었다. 이 대표는 24년 전 역 이름을 가져와 노인 무임승차 제도를 비판한 것이다.
진 교수는 이에 대해 “거기 가면 볼 거 많다. 저도 거기 구경하러 애들 데리고 갔었다. 노인들도 거기 보러 갈 수 있다”며 “(이 대표 발언의) 그 밑에 뭐가 깔려 있느냐면 가서 노인들이 도박 한다는 얘기”라고 했다. 그러면서 “노인들이 정말 도박 할 돈이 있을까. 거기 왜 갔을까 이런 거 따져봐야 되지 않나. 전체 사례 중에 그게 얼마나 될까”라며 “전형적인 감정을 긁는 괴벨스적 화법”이라고 했다.
개혁신당은 기존 노인 지하철 무임승차 제도를 폐지하고 도시철도와 버스, 택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연간 12만원 선불형 교통카드(바우처)를 지급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노인단체에서는 “지하철 적자 요인과 노인의 무임승차는 상관관계가 없다”면서 방만 경영, 요금 문제 등에 따른 적자를 노인들의 탓으로 돌리고 있다는 입장이다.
'Oth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오의 정치, 일상을 잠식했다” (0) | 2024.01.27 |
---|---|
악몽이 된 중국몽… 中경제력, 美 추월은커녕 더 벌어졌다 (0) | 2024.01.27 |
‘피습’ 배현진 퇴원 “이러다 죽겠구나 공포… 국민 안전 위해 노력” (0) | 2024.01.27 |
우리가 알던 ‘그 윤석열’ (0) | 2024.01.27 |
문재인 김명수가 쓴 ‘사법 농단’ 소설, 이 엄청난 책임 어떻게 질 건가 (0)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