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물상] 영화 ‘건국전쟁’
미국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을 향한 미국인의 사랑과 관심은 시대를 초월해 뜨겁다. 전기를 읽고 영화와 드라마로도 감상한다. 2000년대 들어서도 영화 ‘조지 워싱턴’(2000)과 ‘자유를 향한 싸움’(2006) 등이 만들어졌다. TV 드라마로도 방영된다. 일본에선 봉건제를 허물고 근대국가를 세운 메이지 일왕과 혁명가들이, 중국에선 마오쩌둥 영화와 드라마가 만들어진다. 건국 주역에 대한 당연한 관심이다.
▶반면 한국에선 ‘건국 대통령 이승만’ 영화는 거의 찾을 수 없다.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세워 지금의 우리를 있게 한 대통령인데도 그렇다. 신상옥 감독이 1959년 만든 ‘독립협회와 청년 리승만’ 이후 60년 넘게 그의 생애를 다룬 작품은 스크린에서 사실상 사라졌다. 유튜브에서 ‘이승만’을 검색하면 ‘분단의 원흉’ ‘독재자’라는 키워드를 담은 영상이 쏟아진다. 독립운동에 평생을 바쳤고 대한민국을 세웠으며 공산화로부터 나라를 지켰고 한미 동맹으로 번영의 초석을 다진 거인의 삶이 그렇게 지워졌다.
▶폄훼당해 온 이승만의 생애를 되살려낸 다큐 영화 ‘건국전쟁’이 1일 개봉됐다. 첫날 5400여 명이 관람했다. 소셜미디어에는 ‘기대했는데 기대 이상이었다’ ‘지적 임팩트가 강한 작품’ 등의 호평이 줄을 이었다. 영화 티켓을 찍어 올리는 인증 릴레이도 이어진다. 영화를 만든 김덕영 감독은 “이승만 영화 만든다니까 친척들조차 ‘집안 망하는 꼴 보려 하느냐’고 했었다”며 달라진 분위기를 반겼다.
▶84학번인 김 감독도 그 시대 운동권처럼 이승만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북한이 1990년대까지도 평양 시내에 ‘이승만 괴뢰도당을 타도하자’는 플래카드를 내걸었다는 사실을 알고서 ‘북한이 이승만을 미워하는 이유’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100년 앞을 내다보고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립한 한국사 유일의 인물’로 이승만에 대한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그는 “팩트만 보여줘도 이승만에 대한 잘못된 생각이 바뀔 것이란 생각으로 영화를 만들었다”고 했다.
▶'건국전쟁’ 포스터를 부착한 버스 8대가 지금 서울·부산·대전·광주·인천의 거리를 누비고 있다. 서울 지하철역에도 초대 대통령 이승만의 얼굴을 담은 영화 포스터가 나붙었다. 시민 수백 명이 “광고 만들라”며 후원금을 보탠 덕분이다. 시내에서 이승만 얼굴을 보자니, 지난 정부가 2019년 임시정부 100년을 기념한다며 정작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 이승만만 빼놓았던 사실이 떠올랐다. 이번 주말에 ‘건국 전쟁’을 보려고 한다.
해방후 미 군정 당시 나라는 좌익 세력이 활개치는 혼란의 격동기였다.
1946년 8월 미 군정청의 ‘지지하는 이념’ 설문조사에서 ‘자본주의 14%, 공산주의 7%, 사회주의 70%’라는 응답이 이를 웅변한다
1948년 건국당시 80%의 문맹율의 국민중에 78%가 공산주의 국가를 건국해야 한다는 국민의 여론이 있었지만 그 국민들을 설득해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건국하였다. 2천만 국민이 굶주림에 시달리던 극빈 농업국 처지에 6.25 전쟁의 참화를 겪으며 그 잿더미 위에서 한강의 기적으로 일컬어지는 경제 부흥을 이룩하여 세계 경제 10위권의 국가를 이룩하고 선진국에 이른 오늘을 누리고 있다.
블로거 탄> : 이승만 자체가 민족의 축복~!!!
오천년 봉건전제주의 잔재 더미, 찢어지는 가난의 나라, 해방된 식민지 조선, 좌우분열의 혼란과 격동의 정국, 문맹율70~80 %의 낮은 민도, 세계적 미개 후진국 조선 땅에
세계 최고의 선진 자유민주주의 헌법으로 최첨단의 민주공화의 나라 대한민국을 세웠다.
그런걸 민주주의 본향에서 전공하고 체득하고, 보고 느끼고 아는 민주주의 선각자가...
( 아는 게 힘 , 알아야 무엇을 한다. 지행합일이다)
선각자 한 사람,
그 자체가
축복받은 민족이며 복된 나라인 것이다.
내 나이 70중반을 넘으면서...
아무리 생각하고 또 생각해 보면 볼수록
믿을 수 없고 상상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 하나 있으니
그것은 한반도에서 일어나 버린
역사적 기적!
그 참혹한 시절에 자유민주주의를
철철 넘치게 퍼부어 덮어버린 조선땅 !
그 정치철학과 선견지명을 생각만 해도
그 자체가 천지개벽이며
민족의 축복이며
혁명이며
기적이다!
이것이
나의 대오(깨침)이며
그 분에 대해 우러나는
스스로의 경외심이다.
'Beautiful Peop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청자 사로잡았다…'1대 현역가왕' 17세 전유진 (0) | 2024.02.14 |
---|---|
Iconic Swimsuits in Cinema (0) | 2024.02.13 |
조선족시단의 영원한 《별》 윤동주 (0) | 2024.02.11 |
'5주 연속 투표 1위' 전유진, 편지로 전한 '충격 탈락' 소감 (0) | 2024.02.08 |
전유진의 향기...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