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iting Articles

“밤 당직, 낮 수술... 새우잠 자며 9일째 24시간 근무”

류지미 2024. 2. 29. 01:08

“밤 당직, 낮 수술... 새우잠 자며 9일째 24시간 근무”

현장 지키는 의사들 ‘고군분투’

입력 2024.02.28. 20:51업데이트 2024.02.28. 22:02
 
 
 
79
 
 
지난 27일 대구의 한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한 의료진이 옆에 있는 다른 의료진의 등을 토닥이는 모습. 현재 1만3000여 전공의 중 70% 이상이 병원을 떠난 상태다./ 연합뉴스
 
 

28일 오전 7시 서울 서초구 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 잰걸음으로 여러 환자를 돌보던 의사(전문의) 얼굴엔 이슬비 같은 땀이 맺혀 흘러내리고 있었다. 이 의사는 응급실 당직을 맡아 꼬박 36시간을 일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응급 환자들을 보며 사명감으로 버틴다”며 “전공의들이 각자 뜻에 따라 집단 사표를 냈지만 결과적으로 병원을 비운 것은 사실이니 국민들이 충분히 지탄할 수 있는 일”이라고 했다. 한 50대 교수는 “전공의가 없어 힘들지만 환자를 위해서도, 후배(전공의)를 위해서도 우리는 남아 있어야 한다”고 했다. 한 전임의(세부 전공 수련 중인 전문의)는 “병원을 끝까지 지키고 싶다”고 했다.

 

현재 1만3000여 명의 전공의 중 70%가 넘는 9000명 정도가 병원을 떠났다. 수술 건수가 평소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교수와 전임의, 일부 전공의들은 여전히 환자 곁을 지키며 고군분투하고 있다.

 

본지 취재 결과, 부산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 내과에서 중환자실은 이광화·류완호 교수 두 명이 전담하고 있다. 이들은 전공의가 집단 이탈한 지난 20일부터 28일까지 200시간 가까이 귀가를 못 하고 있다고 한다. 병원에서 새우잠을 자며 24시간 중환자들을 돌보고 있다. 이 병원 응급실에도 기존 전공의 6명이 빠져 전문의 6명이 2인 1조로 2교대 근무 중이다.

 

현장을 떠나지 않은 전공의들도 있다. 충남의 한 사립 대학병원에선 내과 전공의 두 명이 남아 중환자실을 맡고 있다. 이들은 사직서를 내지 않았다고 한다. 이 병원 응급실 전공의 5명은 사표는 냈지만 환자를 떠나진 않았다. 5명이 1명씩 돌아가며 당직을 하고 있다.

 

인천의 가천대길병원은 전공의들이 떠나자 교수와 전임의 200여 명이 비상 근무표를 짜고 중환자실과 응급실을 분담하고 있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교수들도 12~24시간 꼬박 당직 근무를 서고 있다”고 했다. 경북대병원도 교수들과 전임의들이 ‘전공의 공백’을 메우고 있다. 밤에 당직 근무를 하고 다음 날 바로 외래 진료를 하고 수술을 한다. 경북의 한 의대 교수는 “거의 온종일 병원에 머물고 있다. 운동으로 치면 감독이 다시 현역으로 돌아간 거여서 고달프긴 하다”며 “환자를 돌보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의사가 많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래픽=양인성
 
 

서울대병원 응급실도 교수와 전임의들이 당직을 짜고 심정지 환자 등 중증·응급환자를 받고 있다. 서울의 한 응급의학과 교수는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임의마저 연장 계약을 하지 않고 떠나면 응급 환자들을 감당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했다. 경기도의 한 종합병원에선 떠난 일부 전공의들이 전화로 응급 처방을 내리고 있다고 한다.

 

 

전공의들 사이에선 여전히 정부가 ‘의대 2000명 증원’ 방침을 백지화하지 않으면 현장 복귀를 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강하다. 그러나 일부 전공의들은 “복귀해서 환자들을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충남의 한 종합병원 전공의는 “프리 라이더(무임 승차자)가 되고 싶지 않아서 사직서를 제출하긴 했지만 동료들 몰래 근무를 하거나 전화로 원격 처방을 하고 있다”고 했다.

 

일부 의대생들도 “동맹 휴학이 강압적인 방식으로 이뤄져선 안 된다”고 하고 있다. 최근 서울대 의예과 익명 게시판에는 “(동맹 휴학 관련) 학생회 지시에 무조건적으로 참여 부탁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러면서 “ ‘휴학 굳이 해야 해?’ 혹은 ‘내가 한다고 바뀌어?’ 같은 자세를 가진 학생은 없어야만 할 것”이라며 “전공의 선생님들도 잃을 것 잃어가면서 싸우는데 힘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이 글 밑엔 “권유나 부탁이 아닌, 군대식 위계 질서를 기반으로 한 강요로 느껴질 수 있을 것 같다”며 “변화를 위해선 행동이 필요하나, 그 행동이 자신의 문제의식이 아닌 타자의 압력에 기반해 이뤄진다면 과연 바람직한 것일지 의문”이라는 댓글이 달렸다.

 

관련 기사
정부가 의료기관을 이탈한 전공의들에게 29일까지 복귀하라고 요청한 가운데, 한덕수 국무총리가 “복귀 요청은 전공의들이 처벌받지 않게 하기 위한 ...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수험시험 한국사 인기 강사 황현필씨가 주장한 ‘이승만의 25가지 과오’ 두번째 검증이다. 황씨는 ‘이승만의 25가지 과오’ 가운...
 
지난 15일 찾은 서울 중구 명동 거리. 가판대에 진열된 딸기 앞에 외국인 관광객들이 우르르 몰려들었다. 딸기 15개가 든 한 팩에 1...
 
프로야구단 롯데 자이언츠 투수 나균안(26)의 불륜과 폭력을 아내 A씨가 공개 주장하고 나선 가운데, 온라인에선 A씨가 작년 12월 길...
 
찬성순반대순관심순최신순
2024.02.28 21:00:03
위사의 본분을 지키며 응급실 수술실 등 가리지 않고 사력을 다해 병원을 지키며 고군분투 하는 의사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환자의 생명을 볼모로 인질극을 벌이는 의사는 그 어떤 이유를 불문하고 복귀하지 않을시 엄정한 법의 집행을 해주기 바람
답글5
155
15

2024.02.28 21:03:40
국민의 인내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의사들은 더 늦기 전에 병원으로 돌아오길 촉구한다. 그것이 국민도 살고 의사도 사는 길이다. 생명을 다루는 의사의 파업은 자동차 공장 파업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답글작성
139
16

JMS
 
2024.02.28 21:04:53
의대증원 성공시키고 장기적으로 의료개혁까지 완성하자
답글1
136
19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