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nderful World

자작나무(백화,白樺) | Betula pendula Roth 이명 : Birch

류지미 2022. 8. 6. 08:27

자작나무
Betula pendula Roth
이명 : Birch
개요 강원도 이북의 높은 산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다. 줄기는 높이 15-20m이며, 줄기껍질은 흰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2.5-7.0cm, 폭 2-6cm이고, 끝은 점점 뾰족해진다. 잎 가장자리에는 겹톱니가 있다.

 

자작나무

잎 짧은 가지에서는 어긋나고 긴 가지에서는 2개씩 나온다. 잎몸은 삼각형 또는 마름모 모양의 달걀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거칠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측맥은 5~8쌍으로 뚜렷하고 뒷면에 기름점이 있으며 잎맥 사이에 갈색 털이 있다.

 

약명 ; 화피, 백화피
자작나무 껍질은 천년이 지나도 썩지 않는다 .결핵, 위염, 황달 기관지염 등에 효험이 있다.

 

어떤 65세 된 할머니가 백내장으로 시력을 잃은 지 2년이 지났는데 지나가던 노인한테 자작나무를 열심히 달여서 마시면 시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를 듣고 1년 동안 자작나무 껍질을 열심히 달여 먹고 정상적인 시력을 되찾았다는 실화가 있다고 하니 시험해 볼 일이다.

 

▶자작나무 수액도 거제수나무나 고로쇠나무 수액과 마찬가지로 곡우 무렵에 나무에 구멍을 뚫어 흘러나오는 수액을 받아 마신다. 신경통, 류머티스 관절염, 소화불량 등에 효험이 있으며 오래 마시면 무병장수한다고 한다.

 

▶러시아에서는......

자작나무를 거의 만병통치약으로 쓴다. 감기, 기침, 기관지염 등에 자작나무 달인 물을 먹기도 하고 자작나무 달인 물로 목욕을 하기도 하며 한증탕의 재료로 쓰기도 한다.

 

 

 

자작나무(남한) / 봇나무(북한)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큰키나무. 활엽수.


위도가 높은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시베리아북유럽, 동아시아 북부, 북아메리카 북부 숲의 대표적인 식물. 하얗고 벗기면 종이처럼 벗겨지는 수피, 목재는 아주 단단하고 곧기 때문에 여러 지역의 많은 민족이 영험한 나무라고 여기며 신성시 하였다.

한반도에는 함경북도에 만주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Siberian Silver Birch), 북부에서 중부지방에 걸쳐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Japanese White Birch)의 두 아종이 분포한다. 자작나무의 근연종들은 영어로 birch, 러시아어로 Берёза로 불린다. 자작나무속에 속하는 것 중에서 한반도에 자생하는 종류로는 박달나무(B. schmidtii), 개박달나무(B. chinensis) 등등이 있다. 다만 아종이라고 하더라도 외관은 꽤 달라 하얗고 부분적으로 검은 외관의 자작나무와 달리 박달나무는 어두운 표면의 일반적인 나무의 모습을 취하고 있다. 그 외 북유럽, 동유럽에서는 B. pendula와 B. pubscens종을 자주 볼 수 있고 툰드라 지대에서는 아예 관목 수준으로 자라는 B. nana종도 존재한다.

북·동유럽에서는 일본삼나무처럼 애증의 관계이다. 관상적·실용적인 가치 때문에 사랑받기도 하지만,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범으로 지목받기 때문이다. 핀란드러시아에서는 사우나 속에서 이 나무의 가지를(잎이 달린 것)을 자기 몸에 툭툭 치는 것으로 술기운을 없앤다고 하며 20세기 후반 이후로 자일리톨 성분을 추출하여 천연감미료로 사용하고 있다. 가공하지 않고 자작나무 수액을 그냥 주스처럼 마시는 경우도 많다.

러시아시베리아 지역에서는 이 나무를 이용해 공예품을 만든다. 껍질로 그림을 만들거나 팔찌모자, 장신구들을 만드는 경우도 있다.

수피는 기름기가 많기 때문에 습기에 강하고 불에 잘 탄다. 때문에 옛날 결혼식때 신방을 밝히는 촛불의 재료로 사용되었기에 흔히 결혼식 첫날밤을 '화촉(樺燭)을 밝히다'라고 한다. 방수성이 우수하므로 북미 원주민들이 카누를 만들거나, 여진족들이 배를 비롯한 각종 생활 용구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과거 고구려신라에서 종이 대용으로 사용되었는데, 천마총천마도 그림도 이 자작나무 수피로 만든 것이다. 이 자작나무의 국명도 불과 관련이 있는데 탈 때 '자작 자작'소리가 난다고 해서 그리 불렸다는 설이 있다.

나무껍질(수피)에 betulinic acid(triterpene)이라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진해, 거담, 항균작용을 한다.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원대리에 자작나무 숲이 우거져 있는데 TV를 통해 자주 등장하면서 유명 관광지가 됐다. 다만 입산금지 기간이 있기 때문에 날짜를 잘 보고 가야 한다. 어느새부터인가 수도권 곳곳에서도 가로수로 볼 수 있게 되었는데 수도권도 냉대기후이기 때문에 식재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대전 이남에서 심으면 기후가 맞지 않아 대부분 오래 가지 못하고 말라죽는 것을 볼 수 있다. 추위에 약해 남부지방을 벗어나면 숲을 이루지 못하는 대나무귤나무와 정반대 위치 포지션. 인제군에서는 '자작나무 숲' 말고도 산의 풍경 곳곳에서 소규모의 자작나무 군락들을 볼 수 있다.

 

 

시인 백석(1912~1995)이 1938년 함경남도 함주에서 지은 시 , 자작나무- 〈백화(白樺)〉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山도 자작나무

그 맛있는 모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

그리고 甘露같이 단샘이 솟는 박우물도 자작나무다

산(山)너머는 평안도(平安道)땅도 뵈인다는 이 산골은 온통자작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