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nderful World 540

설악산 갔는데 금강산이었다…그곳서 원피스 휘날린 이유

쉴 땐 뭐하지 권혁재의 사진 톡톡 설악산 갔는데 금강산이었다…그곳서 원피스 휘날린 이유 2023.07.31 설악산 갔는데 금강산이었다…그곳서 원피스 휘날린 이유 | 중앙일보 에디터권혁재 ‘금강산 화암사’라는 표지석에 아연실색했습니다. ‘설악산 신선대’로 가자는 지인에게 이끌려 왔건만, ‘금강산 화암사’ ‘금강산 신선대(성인봉)’라니 아연실색할밖에요. 목적지를 잘못 찾아온 겁니다. 알고 보니 이랬습니다. 포털에 ‘설악산 신선대’를 검색하면 대체로 ‘금강산 신선대(성인봉)’가 주르륵 나옵니다. 대체 이유가 뭘까요? 어느새부턴가 ‘금강산 신선대(성인봉)’가 MZ세대들이 열광하는 인생 사진 명소가 된 탓이었습니다. 너나없이 SNS 혹은 포털에 ‘금강산 신선대’에 관한 이야기만 올리니 ‘설악산 신선대’는 검색에서..

Wonderful World 2023.08.02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 개막~폐막

강릉과 세계 곳곳이 아름다운 화음으로 가득 채우기를 기대하며!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 개막] https://www.youtube.com/watch?v=nso-K7p4u_k 강릉세계합창대회 개막식 퍼포먼스 You Are Music l 하모나이즈 HARMONIZE https://www.youtube.com/watch?v=i9RWmxU2fio 전 세계 합창인들의 대 축제! 2023 강릉세계합창올림픽 개막식에서 금메달 4관왕에 빛나는 쇼콰이어 하모나이즈가 주제곡 'You Are Music' 퍼포먼스로 함께 했습니다. You Are Music Directed by 오장환 Arranged by 우효원 오장석 권지수 Choreography by 오장석 성경희 Performed by 하모나이즈 ㅣ HARMONIZ..

Wonderful World 2023.07.27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World Choir Games)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World Choir Games) 화려한 개막···13일까지 이어져 손봉석 기자입력 2023. 7. 5. 01:54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전세계 최대규모 합창대회이자, 음악계 글로벌 메가 이벤트로 손꼽히는 세계합창대회(World Choir Games)가 2023년 7월 3일부터 드디어 화려한 막을 올렸다. 강원특별자치도와 강릉시, 독일 인터쿨투르(Interkultur)가 주최하며 2023 강릉 세계합창대회 조직위원회가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후원한다. 대회는 합창단, 세계합창총회, 심사위원, 관계자까지 총 46개국에서 방문하여 ‘지구촌 합창 대축제’가 될 전망이다. 개막식 현장에는 각 나라의 국기를 흔들면서 환호하는 다양한 국가의 단원들로 인해 흡사..

Wonderful World 2023.07.27

능금 꽃 피는 고향 - 패티김

Wonderful World 능금 꽃 피는 고향 - 패티김 Jimie 2022. 12. 11. 04:11 갓바위 좌측, 칠곡군 석적읍 가산면 유학산(遊鶴山, 839m)부터 칠곡군 가산면 가산(架山, 901.6m), 중앙 팔공산(八公山,1,192.3m)을 거쳐 우측, 경산시 하양읍 환성산(環城山,811.3m)까지 선명한 마루금. 대구의 진산(鎭山) 팔공산(八公山 비로봉 毘盧峰1,192.3m) 좌, 파계봉( 破戒峰901m ) 중, 비로봉(毘盧峰 1,192.3 m) 우, 관봉( (冠峰갓바위, 852m) 대구 앞산( 658.7m)에서 조망한 , 좌측 유학산(839m)부터 가산(901.6m), 팔공산(1,192.3m)을 거쳐 우측 환성산(811.3m)까지 동·서 16km의 마루금. 가산에서 본 팔공산 ♬능금 꽃 ..

Wonderful World 2023.07.27

설악산 천불동 계곡

천불동계곡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동 설악산국립공원 내 속초시 설악산로 1091 (설악동) 설악 10경 중 하나. 설악산의 대표적인 계곡으로 설악골 계곡이라고도 부른다. 비선대에서 대청봉까지 약 7km에 걸쳐 형성된 계곡을 따라 와선대(臥仙臺), 문주담(文珠潭), 이호담(二湖潭), 귀면암(鬼面岩), 오련폭포(五連瀑布), 천당폭포(天堂瀑布) 등 수려한 경관이 지루할 틈도 없이 이어진다. 설악산의 진풍경이 모두 이곳에 모여 있다. 천불동 계곡은 지리산의 칠선 계곡, 한라산의 탐라 계곡와 함께 국내 3대 계곡으로 꼽힌다. 사시사철 아름다운 비경을 펼쳐내는데 그중 가장 백미는 단풍이 지는 가을철이다. 울긋불긋한 단풍이 계곡 주변의 기암괴석과 어우러져 등반객들을 유혹한다. 금강굴에서 내려다보는 천불동계곡

Wonderful World 2023.06.29

Missing Titanic Submersible‘Catastrophic Implosion’ Likely Killed 5 Aboard Submersible

Missing Titanic Submersible‘Catastrophic Implosion’ Likely Killed 5 Aboard Submersible Pieces of the missing Titan vessel were found on the ocean floor, about 1,600 feet from the bow of the Titanic, the Coast Guard said. OceanGate Expeditions, the vessel’s operator, said, “Our hearts are with these five souls.” June 22, 2023Updated 10:30 p.m. ET Daniel Victor, Jesus Jiménez and Nicholas Bogel-Bu..

Wonderful World 2023.06.23

Kingdom of Bhutan

Buddhist stupas in Paro, Bhutan, where the Trans Bhutan Trail begins. 부탄 Bhutan 부탄 왕국, Kingdom of Bhutan 인구: 793,302명 (2023년 추계), 면적 : 38,394.0㎢ , 수도 : 팀부,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 양원제 민족 구성 : 보태족(50%), 네팔인(35%), 토착부족 언어 : 영어,종카어 종교 : 티베트 불교(75%), 힌두교(25%) 히말라야 산맥에 있는 입헌군주제 국가. 수도는 팀부이다. 북쪽과 서쪽으로는 티베트 고원, 남쪽과 동쪽으로는 인도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국민은 보태족, 네팔인, 토착부족과 기타 이민족 등으로 구성된다. 종교는 불교이나 문화는 인도 북부와 미얀마에 사는 티베트 미얀마..

Wonderful World 2023.06.22

부탄 왕국 འབྲུག་རྒྱལ་ཁབ | Kingdom of Bhutan - The most isolated country in the world?

부탄 왕국 འབྲུག་རྒྱལ་ཁབ | Kingdom of Bhutan 인도와 중국 사이에 낀 남아시아의 작은 내륙국. 면적 38,816㎢, 인구는 약 81만 명(2018년). 수도는 팀부(ཐིམ་ཕུག, Thimphu). 북쪽의 히말라야 산맥을 경계로 중국령 티베트 자치구와 접해 있다. 대외적으로 알려진 부탄(Bhutan)이라는 국명은 산스크리트어로 "티베트의 끝"이란 뜻인 "보따-안따(भोट-अन्त)"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앞의 보따(भोट)는 고대 티베트어로 티베트를 가리키던 말인 "보드(བོད་)"이며, 티베트의 끝이라는 이유는 말 그대로 티베트 고원의 남쪽 끝에 있었기 때문이다. 부탄인들 스스로는 용의 나라라는 뜻으로 뚝위(འབྲུག་ཡུལ་ / Druk Yul [ʈuk̚˩.yː˩])라고..

Wonderful World 2023.06.21

오랑캐꽃, Violet : 제비꽃과에 속한 다년생풀

우량카이라는 이름은 명나라에서는 북방 이민족을 가리키는 대명사가 되었고, 이것이 조선에서 '오랑캐'로 불리기 시작... 蠻(오랑캐 만), 狄(오랑캐 적), 夷(오랑캐 이) 고비 사막의 북방(주로 몽골을 가리킴) 동부에 할거하던 몽골계 종족인 우량카이족에서 유래한 이민족에 대한 한국어 멸칭. 사실상 야만인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중세 몽골어로 삼림민을 뜻하는 우량카이(Uriankhai)에서 유래했는데 중세 몽골인들이 투바인들을 비하할 때 쓰이던 말이기도 하였다. 특히 원나라 때 중국 문화를 받아들여 중원으로 이주한 일부 몽골족은 중원으로 이주하지 않고 여전히 초원이나 사막에서 유목생활을 하는 몽골족들과 다른 유목민들을 야만족으로 여기며 멸시했을 것으로 보인다. 사하 공화국의 원주민 사하인들은 스스로 우랑카이..

Wonderful World 202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