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 & Human Geography 411

The Wall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orders Documentary) | Real Stories

The Wall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orders Documentary) | Real Stories https://www.youtube.com/watch?v=NxGp5-PDkzk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is a strip of land running across the Korean Peninsula. It is established by the provisions of the Korean Armistice Agreement to serve as a buffer zone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Shot in stunning 4K and narrated by the 2018 Emmy® Awar..

조국의 이름으로, Y공작조

KBS 인물현대사 – 조국의 이름으로, Y공작조 / KBS 20040423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yJRa3MwzfRg 최초 공개: 2021. 10. 13. - 대북첩보전 ‘Y공작프로젝트’ ‘Y공작’은 대북첩보전의 또 다른 이름이었다. ‘Y’로 통칭되는 북파공작원들은 이름 대신 암호인 숫자로 불리었다. 최초 공개되는 당국의 비밀문서인 ‘Y공작보고서’는 북파공작원들의 특수임무수행이 어떻게 수행돼왔고, 또 성과는 무엇이었는지를 자세히 보여준다. 남과 북의 ‘드러나지 않는 전쟁‘인 첩보전을 수행하며 수많은 북파공작원들이 희생됐다. 그러나 그들은 잊혀진 존재였다. 조국의 분단은 남북한 상호간의 체제 경쟁과 이념 대결의 악순환을 불러왔다. 이 역사의 비극을 북파공작원들을 통..

스티코프의 비밀수첩, 김구는 왜 북으로 갔나?

KBS 역사스페셜 – 발굴! 스티코프의 비밀수첩, 김구는 왜 북으로 갔나? / KBS 20000812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Mvy1yKJLeSQ 최초 공개: 2022. 4. 18. ◼︎ 해방 후 38선 이북지역에 진주한 소련군의 실질적인 책임자였던 스티코프 중장은 북한 김일성정부의 수립을 배후에서 지휘한 인물이다. 스티코프가 남긴 비망록을 통해 1948년 4월19일 백범 김구선생이 방북을 하게 된 경위와 과정, 남북연석회의 의의와 한계점 등을 알아본다. 역사스페셜 81회 – 발굴! 스티코프의 비밀수첩, 김구는 왜 북으로 갔나 (2000.8.12.방송) http://history.kbs.co.kr/

한국판 마타하리, 신화인가 진실인가 김수임

KBS 인물현대사 – 한국판 마타하리, 신화인가 진실인가 김수임 / KBS 20050211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xrVmuzgb6Bc 최초 공개: 2021. 7. 16. 최초로 TV에 모습을 나타낸 '여간첩 김수임'의 아들 김원일氏. 당시 재판에 참여했던 인물들의 생생한 증언들.. 여간첩의 대명사이자 한국판 마타하리로 불려온 김수임. 이 프로그램에서는 김수임이라는 여성에게 늘 따라다녔던 신화와 허상을 벗겨내는 작업을 시도해 본다. 이를 통해 김수임의 진정한 이미지를 찾아보고 또 김수임 사건과 그 신화가 한국현대사에서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 김수임의 일생 이화여전 출신으로 미군정청에서 일한 인텔리 여성 김수임. 개성의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그녀는 불과..

반세기 만의 무죄판결, 조봉암 죽음의 진실

KBS 역사스페셜 – 반세기 만의 무죄판결, 조봉암 죽음의 진실 / KBS 20110421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ReM3yp8fiWg 2021. 7. 30. 1959년 7월31일 진보당 당수 죽산 조봉암이 간첩죄와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사형됐다. 그로부터 52년 후인 2011년 1월 20일 대법원은 죽산 조봉암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반세기 만에 뒤집힌 판결이다. 대한민국 초대 내각 농림부장관과 국회부의장을 거쳐 두 번의 정부통령 선거에 출마했었던 죽산 조봉암. 해방 이후 가장 주목받는 정치인이었던 그는 왜 간첩의 누명을 쓴 채 사형당한 것일까? 사후 52년, 그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을 파헤쳐 본다. - 조봉암의 죽음을 둘러싼 사법살인의 의혹 1958년 ..

‘사법살인’ 조봉암 선생, 반세기만에 무죄 입증

법원 ‘사법살인’ 인정… 죽산 반세기만에 ‘복권’ 입력 :2011-01-21 00:00ㅣ 수정 : 2011-01-21 00:38 죽산 조봉암 무죄 선고 의미·판결 근거 사법부가 반세기 만에 ‘사법살인’을 인정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시환)는 20일 간첩으로 몰려 사형당한 죽산(竹山) 조봉암(1898~1959)에 대한 재심에서 국가변란과 간첩 혐의에 대해 전원일치로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따라 진보당을 창당한 조봉암은 사형 집행 52년 만에 간첩 누명을 벗게 됐다. ▲ 1958년 간첩 혐의 등으로 구속된 조봉암이 포승줄에 묶인 채 재판을 받기 위해 법정으로 걸어가고 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재판부는 국가변란 혐의에 대해 “진보당은 자유민주주의를 부정하거나 국가변란을 목적으로 결성됐다고 볼 수 ..

반세기 만의 무죄판결, 조봉암 죽음의 진실

KBS 역사스페셜 – 반세기 만의 무죄판결, 조봉암 죽음의 진실 / KBS 20110421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ReM3yp8fiWg 2021. 7. 30. 1959년 7월31일 진보당 당수 죽산 조봉암이 간첩죄와 국가보안법 위반죄로 사형됐다. 그로부터 52년 후인 2011년 1월 20일 대법원은 죽산 조봉암에 대한 재심에서 무죄를 선고했다. 반세기 만에 뒤집힌 판결이다. 대한민국 초대 내각 농림부장관과 국회부의장을 거쳐 두 번의 정부통령 선거에 출마했었던 죽산 조봉암. 해방 이후 가장 주목받는 정치인이었던 그는 왜 간첩의 누명을 쓴 채 사형당한 것일까? 사후 52년, 그의 죽음을 둘러싼 진실을 파헤쳐 본다. - 조봉암의 죽음을 둘러싼 사법살인의 의혹 1958년 ..

Recuerdos De La Alhambra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알함브라는 아랍어(al-Ḥamrā) 에서 유래된 것으로, "빨간 하나(the red one)"를 의미 한다. "Alhambra"의 "Al-"는 아랍어로 "the"를 의미하지만, 그러나 명확한 글이 주어지는 영어와 스페인어에서는 일반적으로 무시됩니다. ​ 이베리아 반도에 정착했던 무어인들이 그라나다에 지은 궁전. 규모가 크지는 않으나 극도로 세련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곳이다. 알함브라 궁전은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의 건축이 절충된 예이기도 하다. 지금은 전형적인 기독교 문화권이 된 도시에서 이슬람의 흔적이 듬뿍 담긴 궁궐을 보는 기분이 묘하다. 이것의 정반대의 케이스가 바로 과거에는 동방 정교 예술의 정수이자 중심이었으나 지금은 이슬람교의 도시가 된 이스탄불의 성 소피아 성당..

'Ukraine was reborn when Russia invaded us!' Putin's obliterated tanks line streets of Kyiv as Zelensky rallies the country on Independence Day

'Ukraine was reborn when Russia invaded us!' Putin's obliterated tanks line streets of Kyiv as Zelensky rallies the country on Independence Day… and vows to retake Crimea Ukraine is celebrating the 31st anniversary of independence from Soviet Union Destroyed Russian tanks and armoured vehicles have been displayed in Kyiv Volodymyr Zelensky said Ukrainians believe the war will end with victory By..

이승만 본처, 6·25전쟁 중 한강다리 못건너고 인민군에 사살돼

이승만 본처, 6·25전쟁 중 한강다리 못건너고 인민군에 사살돼 전정희 입력 2022. 08. 21. 06:02 수정 2022. 08. 21. 06:36 [전정희 편집위원의 러브& 히스토리칼 사이트](7) 이승만 망명 전까지 서로 사랑했던 부부(下) 독립운동가 아내 감시와 협박 속 일경으로부터 수치..부정설, 개가설 돌아 이승만(1875~1965) 전 대통령의 본처 박승선(1875~1950 추정)의 사진을 마주보면 왼쪽 눈이 어딘가 자연스럽지 못하다. 장애가 있는 것 아닌 게 싶게 균형을 이루지 못했다. 노년의 박승선. 1965년 8월 조선일보가 보도한 사진이다. 이승만·박승선이 혼인을 하게 된 것은 이승만의 아버지 이경선(1835~1912)의 사주풀이 때문이었다. 무당에게 6대 독자 혼사를 위한 점을 ..